카테고리 없음

석고보드의 규격 및 종류,특징,시공방법 ※시방서 다운로드

경량맨 2021. 9. 2. 08:48

시공방법 자료(시방서 다운로드)는 본문 하단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최대한 웹사이트 내용으로 작성하였으나 작성자의 기준으로 일부 수정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글/이미지 도용 방지 차원에서 일부 이미지에 워터마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옮긴이 | ⓒ대산우드랜드

 

 

1. 일반석고보드

▪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어 '일반석고' 또는 '일반석고보드'라고 해요.

▪ 다양한 마감 처리 및 시공이 가능한 석고보드입니다.

▪ 용도 : 건축물의 벽체, 천장 및 건식벽체 등

두께 나비 길이 색상
9.5 900 1,800/2,400 아이보리색
12.5 2,700/3,000
15 1,200 2,400

 


2. 방수석고보드

▪ 석고에 방수처리를 하여 "방수석고" 혹은 "방수석고보드"라고 해요.

▪ 습기가 많은 화장실이나 부엌 부위에 적용이 가능한 석고보드입니다.

▪ 용도 : 실내 타일 접착 하지용 (부엌, 욕실 등)

두께 나비 길이 색상
9.5
12.5
15
900 1,800/2,400
2,700/3,000
하늘색
1200 2,400

 


 

3. 방화석고보드

▪ 석고에 내화재료 및 무기질섬유를 보강하여 "방화석고" 또는 "방화석고보드"라고 해요.

└ 내화구조 품질확인서 작성 품목

▪ 내화, 즉 화재로부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석고보드입니다.

▪ 용도 : 건축물의 내화·차음 구조 칸막이벽, 엘리베이터 홀용 칸막이벽

두께 나비 길이 표면색상
12.5
15
900 1,800/2,400
2,700/3,000
핑크색
1200 2,400
19 900 1,800/2,400
25 600 1,800/2,400
/2,700/3,000

 

 

4. 방화방수석고보드

▪ 석고에 방수처리 + 내화재료 + 무기질섬유를 보강하여 "방화+방수석고보드"라고 해요

└방수 성능 기준 : KS F 3504의 방수보드와 동일

└방화 성능 기준 : KS F 3504의 방화보드와 동일

▪ 습기 노출 구역에 별도의 방수석고보드 시공이 필요치 않아 시공 기간이 단축됩니다.

▪ 방화방수석고보드 1회 시공으로 방화 및 방수의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켜 자재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내화/차음구조 인정 획득(내화구조 품질확인서 작성품목)

 

두께 나비 길이 표면색상
12.5
15
900 1,800/2,400
2,700/3,000
핑크색
1200 2,400
19 900 1,800/2,400
25 600 1,800/2,400/
2,700/3,000

 


 

 

5. 차음석고보드

▪ KCC 차음석고보드는 기존 석고보드에 비해 차음성능이 향상된 석고보드입니다.

▪ 우수한 시공성으로 건축 공기를 단축하므로 경제적일 뿐 아니라, 현대건축물의 조립화 및 경량화 추세에 적합하고 조적벽이나 콘크리트 벽에 비해 경량이므로 건축물의 구조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두께 나비 길이 색상
9.5
12.5
15
900 1,800/2,400
/2,700/3,000
비취색
1200 2,400

 


 

6. 방균석고보드

▪ KCC 방균석고보드는 아파트 등의 일반 건축물의 바닥몰탈 작업 후 벽체 면에 발생될 수 있는 곰팡이의 방지를 위한 비닐 보호막이나 방균도료등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적용될 수 있는 석고보드로, 공기단축과 재료비·인건비를 절감시켜주는 경제적인 기능성 석고보드입니다.

각종 건축물의 벽체, 천장 등의 기초재, 금속 복합 판넬의 심재, 비내력 건식벽체 등

두께 나비 길이 항곰팡이 성능 색상
9.5 900 1,800/2,400 ASTM G-21 비취색
12.5 2,700/3,000
15 1,200 2,400

 

7. 시공시 주의사항

벽지시공은 석고보드가 충분히 건조된 후(표면수분 측정기로 측정시 : 10~20 %, 방통작업후 3~4개월뒤)에 실시해야 합니다. 석고보드가 불충분하게 건조된 경우 혹은 방통작업후 1~2개월뒤 벽지마감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는 유성 바니쉬 클리어 도료(KCC UV404-9000)를두께 약 20 ㎛ 정도를 바닥에서 미건조된 부위 상부 10 cm까지 완전도포후 시공해야 합니다. 도배용 풀은 방부처리된 밀가루풀을 사용해 주시고 부패된 것은 사용하면 안됩니다. 작업시의 온도 및 상대습도가 30 ℃, 85 % 이상 지속될 경우, 흡습방지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제품의 기능을 상실 할 수 있습니다.

 

8. 석고보드 시공법

3.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으로부터 인정 취득된 내화 및 차음구조체의 시공 기준은 인정 교부된

인정세부서류 내용에 준함

3.2.2 강재 윗막이 및 밑막이(런너) 설치

석고보드 칸막이 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바닥과 천장부위에 정확하게 먹메김을 실시한 후 앙카 또는 나사못 등을 사용하여 강제 윗막이 및 밑막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고정못 간격은 600mm정도로 하여 연결부나 끝 부분은 200mm 이내로 한다.

 

3.2.3 강재 샛기둥(스터드) 설치

바닥과 천장부위에 설치된 강제 윗막이와 밑막이(C-Runner)에 맞게 경량 강제 샛기둥을 절단하여 윗막이 및 밑막이에 450mm 간격으로 끼워 넣은 후 정확히 수직을 조절하며, 문틀, 벽체교차부위, 코너부위, 접합 부에 위치하는 경량 강제 샛기둥과 윗막이 및 밑막이 접합부는 나사못을 사용해 고정한다.

3.2.4 한쪽면 석고보드 붙임

⑴ 바탕 석고보드 붙임

바탕 석고보드는 벽체높이보다 약 10mm이내로 짧게 재단하여 상부 슬라브 접합면에 여유를 두며, 경량강제 샛기둥(C-Stud) 한쪽면의 중심선에 석고보드 이음매가 위치하도록 나사못(ø3.5㎜×32㎜)을 사용하여 바탕석고보드를 부착하여야 한다.

⑵ 마감 석고보드 붙임

마감 석고보드는 바탕 석고보드 중앙에 이음매가 위치하도록 나사못(Ø3.5mm X 40mm이상)을

사용하여 부착한다. 이 때 중앙부의 나사못은 바탕 석고보드 부착과 상/하 반대 방향으로부터

고정하여 바탕석고보드의 나사못과의 겹침을 방지해야 한다.

※ 나사못 시공간격

종 류 바탕 석고보드 마감 석고보드 비 고
중앙부 600㎜ 스터드간격 300㎜ 스터드간격 허용오차 :
±10㎜
가장자리 600㎜ 스터드간격 300㎜ 스터드간격

 

3.2.5 단열재(KCC 미네랄울 또는 그라스울) 설치

내화, 차음용 KCC 단열재(그라스울, 미네랄울)를 경량 강제 샛기둥 사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경량강제 샛기둥 간격이상 재단하여, 단열재 고정핀을 이용해 밀착 고정시켜야 한다.

단열재고정핀 (L:50mm이상, 0.5mm)은 가로, 가로로 경량 강제 샛기둥 사이에 2곳, 세로 500mm

간격으로 바탕석고보드 이면에 설치하고, 단열재 부착 후, 돌출된 핀 끝 부위를 고정핀 위 덮개

(Ø50mm, 0.5mm)를 사용하여 단열재를 고정 시켜야 한다.

3.2.6 반대면 석고보드 붙임

반대편과 이음매가 엇갈리도록 “3.2.4”과 동일한 방법으로 석고보드를 부착하여야 한다.

3.2.7 이음매 처리

마감석고보드의 이음매 및 나사못 머리 부위는 이음매 마감재 (Joint Compound) 및 이음 테이프(Joint Tape)를 사용하여 이음매 처리를 한 후 충분히 건조시킨 다음 표면을 샌드페이퍼로 평활하게 하여야 한다.

3.2.8 접합부 처리

석고보드의 바닥 및 벽 접합 부위는 바탕이 콘크리트인 경우 실란트로 홈을 메워 기밀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천장에 고정시키는 부위는 반드시 구조체에 기밀성을 갖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단, 석고보드가 맞닿는 부위 또는 개구부 등의 마감은 코너 보강재 등의 부자재를 사용하여 보강하여야 한다.

3.2.9 관통부 처리

덕트 등으로 인해 석고보드 사이에 관통부위가 생길 경우에는 먼저 덕트에 단면 모양과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고 이에 준하여 석고보드 및 단열재를 절단 후 석고보드를 부착한다. 작업 후 덕트와 석고보드 사이의 틈은 실란트로 처리하여 기밀성의 유지 및 덕트의 부식을 방지하여야 한다.

3.2.10 표면 마감 처리

이음매 처리 후 이음매 마감재(Joint Compound)가 충분히 건조된 (함수율 1 % 이하, 표면수분 측정기 지시값 : 10~20) 다음에 도장 또는 표면 마감 처리를 하여야 한다. 상기 공정은 제조업체에서 제시한 용도에 적합한 구조 및 석고보드 두께를 사용한다.

※ 천장 및 벽체 부위에 시공된 석고보드에 도장 마감을 실시할 경우, 미려한 외관을 위해서는 전처리 작업으로 전면 퍼티작업을 반드시 실시하여야 한다.

※ 석고보드 표면수분 측정기 (Gypsumboard Moisture Meter) 모델명 : LGF

 

9. 석고보드 시방서 다운로드

석고보드_시방서_석고보드종합.hwp
0.27MB

 

10. 참고

​[참고] KCC - 석고보드[웹사이트]. URL : https://www.kccworld.co.kr/products/matrix.do

[참고] 석고보드-시공방법[작성자 : 대산우드랜드]. URL : https://blog.naver.com/daesan3833

 

네이버 톡톡으로 많은 문의 부탁드립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한 쇼핑되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