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그라스울 보온핀,지지핀 시공법 단열재 (시방서,다운로드)

경량맨 2021. 8. 24. 08:09

 

그라스울 시공방법

모바일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카달로그 본문을 참고 정리해보았습니다.

최대한 본문 내용으로 작성하였으나 작성자의 기준으로 일부 수정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글/이미지 도용 방지 차원에서 일부 이미지에 워터마크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옮긴이 | ⓒ대산우드랜드

 

210709_그라스울 종합 카다로그.pdf
6.98MB

 

1. 그라스울?

▪ 벽산 그라스울은 친환경 건축자재 전문기업 벽산이 개발한 국내 최초 회전식 공법으로 생산된

건축산업용 및 가정용 보온, 단열, 보냉, 흡음 전문 제품으로 보다 경제적이고 편리한 시공을 돕습니다.

특히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킨 친환경 건축자재로 일본 경제산업성, 일본공업규격협회의

건축자재 포름알데히드 방출 관련 최고 등급인 F☆☆☆☆ 기준에 적합한 제품입니다.

 

2. 특징​

▪ 보온, 단열효과를 유지하며 에너지 절약효과가 우수합니다.

▪ 불연 및 방화기능을 갖춰 화재발생시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 섬유가 유연하고 섬세해 질감이 부드러우며 쉽게 재단이 가능해 작업능률이 향상됩니다.

▪ 폐유리 등의 재활용 원료를 사용하는 환경친화적 건축자재입니다.

▪ 압축포장으로 보관과 운반비 용이, 공사시간을 단축시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 보온단열성과 결로방지를 통해 건물을 더욱 오랜기간 유지시켜줍니다.

 

3. 규격

밀도 두께(mm) (mm) 길이(mm)
24 25 1 20
50 1 10
32 50 1 10

 

4. 그라스울 벽체 시공방법

그라스울 벽체 시공 상세도

 

▪ 콘크리트벽체와 같은 면이 되도록 나무벽돌을 설치합니다.

▪ 벽체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가 되도록 양생합니다.

▪ 그리스울이 접착될 면을 깨끗이 청소합니다.

▪ 띠장을 못으로 나무벽돌에 고정시킵니다.

▪ 그라스울을 띠장 사이에 틈새없이 붙입니다.

▪ 그라스울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방습층)을 펴내고 보드류 등의 마감재 또는 마감 바탕재를 붙입니다.

▪ 폴리에틸렌 필름의 가로,세로 겹침은 15cm이상,접착제로 이을 때 겹침은 5cm 이상이어야 합니다.

 

4-1. 타공공법 측벽 시공 상세도

4-2. 콘크리트블럭 내력벽 상세도

 

4-3. 적벽돌 및 블럭 이중벽 상세도

 

4-4. 프리캐스트판 벽 상세도

 

 

4-5. 메탈 및 유리커튼 벽

 

4-6. 벽.천장 접합상세

4-7. 바닥.걸레받이.벽 접합상세

 

5-1. 그라스울 바닥 시공법

 

▪ 잡석 또는 모래를 깔고 고루 다집니다.

▪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수분이 건조되기 전 쇠흙손질하고 양생합니다.

▪ 양생 후, 바닥 콘크리트면을 깨끗하게 합니다.

▪ 폴리에틸렌 필름을 겹쳐 깔며 겹침길이는 15cm 이상이 되도록 하며 들뜨지 않도록 주의한다.

▪ 소정 간격으로 멍애를 배치합니다. 이때 밑에 깔린 폴리에틸렌 필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만일 부주의로 찢어지거나 구멍이 났을 경우, 내습성 테이프로 붙입니다.

▪ 멍애사이에 그라스울을 설치합니다.

▪ 장선을 멍애에 고정하고 마루판을 설치합니다.

▪ 바닥과 벽과의 접합부 단열시공에 주의하십시오.

▪ 그라스울은 20kg/m3, 25mm 이상의 것을 사용하십시오.

 

5-2. 천장위 단열 시공법

 

천장위 단열 시공법

▪ 반자틀에 천장 바탕재를 붙이면서 단열재층을 형성합니다.

(기존 반자인 경우, 천장 속 작업이 가능하면 천장 속 작업을 원칙으로 합니다.)

▪ 그라스울 반자틀 사이에 꼭 끼는 정도 치수로 절단합니다.

▪방습층은 가급적 절단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반자틀 위에 느슨하게 깔아둡니다. 폴리에틸렌 또는 P.V.C 필름을 사용하고 이음은 15cm 이상 서로 겹치게 하거나 접착할 경우, 그 면이 5cm 이상 되게 접착합니다.

▪절단된 그라스울을 방습층이 깔려있는 위에서 반자틀 사이에 눌러 끼웁니다.

 

6. 용도

▪ 일반건축물 사무실, 학교, 병원, 대형마트 등 천장에 적용

▪ 영화관, 기계실, 체육관, 집회장, 컴퓨터실, 음향시설에 사용

▪ 공장, 저장창고, 방화구역 및 화재의 위험이 있는 모든 건축물에 사용

 

7. 그라스울 보온핀 시공법

(1) 설계도면에 따라 먹줄 등을 이용하여 핀 부착위치를 명확하게 표시한다.

(2) 1 ㎡기준 보온핀 개수는 4개 이상으로 하며 핀간격은 500 mm 이하로 한다. 또한 보온핀 부착위치와 끝단과의 거리는 250 mm이하로 하여야 한다.

(3) 보온핀 하부 고정판에 본드를 발라 미리 표시한 부착위치에 탈락하지 않도록 부착한다. 보온핀의 길이는 그라스울 두께보다 20 mm이상 긴 것을 사용한다.

※ 본드의 경화시간은 하절기: 2~3일 동절기: 5~6일로 한다.

지상/지하 등의 시공환경 및 온/습도 기후변화에 따른 변수를 고려하여 경화 시간을 충분히 하여야 한다.

(4) 보온핀 하부 고정판 양쪽에 최소 2개 이상 타카네일로 시공한다 .

※ 콘크리트면일 경우 하지표면에 이물질이 없거나 면이 고를 경우 본드로 인한 부착 강도가 충분히 확보 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타카로 후속 고정 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무관하다.

(5) 전기 박스 및 행거/볼트선등의 위치 및 크기 등을 파악하여 시공 전에 그라스울을 그 규격만큼 절단한다.

(6) 그라스울을 하지면과 밀착시켜 들뜸이 생기지 않도록 보온핀에 관통되도록 시공한다. (보온핀의 수직도를 확인하여 보온핀 구부러져 있을 경우 망치 등을 이용하여 천장과 수직이 유지되도록 고정한다)

(7) 그라스울 시공 후 와샤를 밀어넣어 그라스울을 고정한다. 튀어나온 보온핀은 구부린다.

(8) 그라스울간의 접합면은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밀착하여 시공하며, 그라스울간 또는 내벽과 만나는 접합면의 틈새 및 은박 외피재가 찢어진 부위는 알루미늄테이프로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밀실하게 접착한다. (그라스울 상부 끝단 이음부위는 50 mm너비의 알미늄 테이프를 부착하고 보 시공시 노출되는 그라스울 상부끝단은 100 mm너비의 알미늄 테이프로 2~3회 걸쳐 밀실하게 접착하여 틈새가 없도록 알미늄 테이프를 접착한다.)

 

7. 그라스울 지지핀 시공법

(1) 설계도면에따라 먹줄등을 이용하여 핀 부착위치를 명확하게 표시한다.

(2) 지지핀 하부고정판에 본드를 발라 미리 표시한 부착위치에 충분히 압착하여 탈락하지 않도록 부착한다.

(3) 본드가 완전히 경화한 후 그라스울의 접합부를 약간 밀어붙여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시공한다.

(4) PE Film등의 방습층을 주름지지 않게 시공하며 이음부는 충분히 중첩시켜 투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5) 그라스울 시공 후 핀 덮개를 덮개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여야 한다.

(6) 전기박스 등의 주변은 지지핀을 좌·우 1개씩 시공 후 석고본드로 보강한다.

(7) 기온이 5℃이하일 때 지지핀 붙이기 및 석고보드 붙이기 작업은 피해야 한다.

(8) 아래의 방법에 따라 지지핀위에 석고보드를 붙인다.

① 석고본드의 혼합은 시공이 좋도록 반죽하되 1시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

② 핀 위에 석고본드를 소요두께의 2배 정도 되게 직경 5cm정도(눌렀을 경우8cm정도) 붙이고, 석고보드를 수직, 수평이 되게 붙인다. 3시간 이내에는 충격이나 힘을 가해서는 아니되며, 석고본드가 완전히 굳을 수 있도록 2주간 동안은 변형이 생길 정도의 충격이나 힘을 가해서는 안된다.

③ 석고보드의 수직, 수평유지는 석고본드 두께를 이용하여 조정한다.

④ 석고보드 이음새와 코너 부분은 두드러짐이 없도록 본드로 메꾼 후 샌드페이퍼 등으로 평활하게 면처리를 한다.

⑤ 건축공사수급자는 스위치 박스 위치를 정확하게 석고보드 위에 표시하여 전기공사 수급자가 필요 규격만큼 정밀하게 개공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9. 그라스울 보온핀 공법 / 지지핀 공법 시방서( 다운로드)

그라스울 보온핀 공법.hwp
0.04MB
그라스울 지지핀 공법.hwp
0.04MB

10. 참고

​[참고] 벽산 단열재 - 그라스울[웹사이트]. URL : http://www.byucksan.com/

[참고] 그라스울 시공방법[작성자 : 경량맨]. URL : https://blog.naver.com/daesan3833